본문 바로가기

AWS/서비스

[AWS-서비스]VPC 와 서브넷

Virtual Private Cloud(VPC) 는 사용자의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입니다.  VPC는 AWS  클라우드에서 다른 가상 네트워크와 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습니다. Amazon EC2인스턴스와 같은 AWS 리소스를 VPC에서 실행 할 수 있습니다. IP주소 범위와 VPC 범위를 설정하고 서브넷을 추가하고 보안그룹을 연결한 다음 라우팅 테이블을 구성합니다.

VPC
  • 가상의 데이터센터
  • 내부의 가용영역 설정가능
  • 외부와 격리된 네트워크 컨테이너 구성가능
    • 원하는대로 사설망 구축가능
    • 부여된  IP대역을 분할하여 사용가능
  • 리전단위
VPC 의 사용사례 
  • EC2,RDS, Lambda등의 AWS 의 컴퓨팅 서비스 실행 
  • 다양한 서브넷 구성
  • 보안설정(IP Block , 인터넷에 노출안되는ec2구성가능)
VPC 구성

  1. 리전선택 및 IP 주소범위설정 
    • CIDR (Classless Inter-Domain Routing)  블록 설정 
      •  IP대역의 시작주소와 크기(넷마스크)_정의
    • VPC 넷 마스크 범위는 /16~/28까지 가능 
    • CIDP 은 생성 후 변경 불가능 
     
  2. 서브넷 정의
    • 용도에 따른 분리 
  3.  Internet Gateway 설정
    • 퍼블릭 라우팅 테이블로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연결한 서브넷은 퍼블릭 서브넷
    • 네트워크 망 분리 설정 가능 
  4. 라우팅 테이블 구성 
    • 퍼블릭 라우팅 테이블로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연결한 서브넷은 퍼블릭 서브넷
    • 프라이빗 라우팅 테이블로 구성한 서브넷은 프라이빗 서브
  5.  VPC 액세스 제어(방화벽설정)
    • Netwrok Access Control LIST(NACL) 
      • 서브넷 단위방화벽
      • 상태 비저장(Stateless)
      •  allow , deny설정가능
    • 보안그룹
      • 인스턴스 단위 방화벽
      • 상태저장(Stateful)
      •  allow 만 설정가능 
       

CIDR  블록설정

 

서브넷정의
Internet Gateway 설정

VPC 의 구성요소
  • 서브넷
  • 인터넷 게이트웨이
  • NACL/보안그룹
  • 라우트테이블
  • NAT Instance / NAT Gateway
  • Bastion Host
  • VPC Endpoint
AWS 의 구조 
  • aws 기본 서비스는  public internet 를 통해 접근가능하다, 
  • but ,   VPC 는 원칙적으로 public internet 에서 접근 불가 
    • vpc -> aws serivce 바로접근 불가하고 ,  public internet  통해서 접근 불가 
    • vpc는 외부와 격리된 서비스이지만 internet gateway를 통해서 외부와 통신가능하다
서브넷이란
  • VPC 의 하위단위로 VPC에 할당된 IP를 더 작은 단위로 분할한 개념
  • 하나의 서브넷은 하나의 가용영역(AZ)안에 위치 
  • CIDR BLOCK RANGE 로 IP주소지정 
AWS 서브넷의 IP 갯수 
  • AWS의 사용가능 IP 숫자는 5개를 제외하고 계산 
    • 예 : 10.0.0.0/24 라면? 
      • 10.0.0 은 고정 (네트워크비트)
      • 0/24 -> 32 -24 = 8 (호스트비트) 즉 2의 8승 = 256개의 ip주소보유 한 네트워크 수
        • 10.0.0.0 :네트워크어드레스
        • 10.0.0.1 : VPC Router
        • 10.0.0.2 : DNS Server
        • 10.0.0.3 :  미래에 사용을 위해 남겨 둠
        • 10.0.0.255 :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 
      • 즉 총 사용 가능한  ip 갯수는  2의 8승 = 256 - 5 = 251개!!
라우트 테이블(Route Table)
  • IP를 호출하면 어디로 가야할지를 알려주는 테이블
  • 라우터와 라우트테이블이 있기때문에 서브넷과 서브넷 사이 통신 가
서브넷 종류 
  • 퍼블릭 서브넷 :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 서브넷
    •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와 연결
    • 안에 위치한 인스턴스에 퍼블릭 IP 부여가능
    • 웹서버, 어플리케이션서버등 유저에서 노출되어야하는 인프라
    • 외부와 통신가능한 라우터,라우터테이블 ,인터넷게트웨이가 붙어있는 서브넷이다
  • 프라이빗 서브넷 : 
    • 외부 인터넷 연결 안됨
    • 퍼블릭 IP 부여 불가능
    • 테이터베이스, 로직서버 등 외부에 노출 안할 때 사용 
인터넷 게이트웨이 
  • VPC 가 외부의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도록 경로를 만들어주는 리소스
  • 기본적으로 확장성과 고가용성 확보 
  • IPv4  , IPv6
    • IPv4  경우  NAT역할
  • 무료!!!!
  • Route Table에서 경로 설정 후에 접근 가

'AWS > 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WS-서비스]S3 (Simple Storage Servcie)  (0) 2024.06.13
[AWS-서비스] EC2 (2) 가격정책  (0) 2024.06.02
[ASW-서비스] EC2  (0) 2024.06.02
[AWS-서비스] IAM (Identity and Access Managemen)  (0) 2024.06.0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