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lastic Load Balancing 은 들어오는 어플리케이션 트래픽을 ec2 인스턴스, 컨테이너, ip 주소 , lambda 함수와 같은 여러 대상에 자동으로 분산시킵니다.
Elastic Load Balancing 단일 가용 영역 또는 여러 가용 영역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부하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
Elastic Load Balancing 제공하는 세가지 로드밸러서는 모두 어플리케이션의 내결함성에 필요한 고 가용성 , 자동확장/축소, 강력한 보안을 갖추고 있습니다.
-다수의 서비스에 트래픽을 분산 시켜주는 서비스
-Health Check : 직접 트래픽을 발생시켜 Instance 가 살아있는 지 체크함
-Autoscaling과 연동가능
-여러 가용영역에 분산 가능
-지속적으로 IP주소가 바뀌며 IP 고정 불가능 : 항상 도메인 기반으로 사용
Elastic Load Balancer 종류
- Application Load Balancer
-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여 라우팅 가능 (웹 어드레스를 읽어서 똑똑하게 처리함)
- 예: image.sample.com ▶이미지 서버로 / web.sample.com ▶웹 서버로
-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여 라우팅 가능 (웹 어드레스를 읽어서 똑똑하게 처리함)
- Network Load Balancer
- tcp 기반의 빠른 트래픽 분산
- Elastic IP 할당 가능 (IP를 고정하는 기술)
- Classic Load Balancer
- 예전에 많이 사용되었으며, 요즘은 미사용
- Gateway Load Balancer
- EC2에 도달하기전에 네트워크 단에서 방화벽,인증, 로깅등에 역할을 하도록 함
- 먼저 트래픽을 체크함
Application Load Balancer 대상그룹 : 분산할 대상 그룹
- ALB 라우팅 할 대상의 집합 ex) 이미지 서버집합, 웹서버집합, 람다함수그룹 집합 등)
- 구성(3+1 종류)
- Instance
- IP ( PRIVATE)
- Lambda(서버없이 간단하게 코드 실행하는 함수)
- ALB (다시 ALB 호출가능)
- 프로토콜(HTTP , HTTPS , GRPC등)
- ALB 상에서 HTTPS 쉽게 생성가능
- 기타설정
- 트래픽 분산 알고리즘 , 고정세션 등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AWS] IP , NAT, CIDR (0) | 2024.06.03 |
|---|---|
| [ AWS] Elastic File System(EFS)_ (0) | 2024.06.03 |
| [AWS] EC2 AutoScaling (0) | 2024.06.02 |
| [AWS]EC2의 생명주기 (0) | 2024.06.02 |
| [AWS] EC2(4) EBS , Snapshot ,AMI (0) | 2024.06.02 |